본문 바로가기
자격증/산업안전기사

산업안전기사 필기 후기(22년 1회)

by For freeedom 2022. 3. 12.
반응형

1. 응시사유

기업에서 산업안전에 대한 관심은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중대재해처벌법의 시행과 함께 이제는 관심 정도가 아니라 사활을 걸고있다.

개인적으로 예전부터 안전업무에 거부감을 가지고 있어 따로 공부하지는 않았는데

산업계에 종사하는 한, 이제는 받아들이고 미래를 준비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물론 산업안전기사 하나 취득한다고 안전에 대한 유용한 지식이 늘거나, 크게 쓸모가 있지는 않다.

그래도 안전 공부의 첫걸음이라고 생각하고 응시하게되었다.

취준생의 입장에서는 꽤 쓸만한 자격증이라고 생각한다.

경우에 따라 직접적으로 가점을 받을 수 있는 곳이 있고,

그렇지 않더라도 안전은 면접(질문이든, 토의 주제든)에서 단골 소재인 만큼,

한마디라도 잘 포장해볼 수 있을 것이다.

 

2. 과목/시간

먼저 과목은 아래 6과목이다.

1과목 : 안전관리론

2과목 :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3과목 : 기계위험방지기술

4과목 : 전기위험방지기술

5과목 : 화학설비위험방지기술

6과목 : 건설안전기술

시간은 3시간이지만 계산문제가 거의없어 90분 후 퇴실가능할 때 대부분이 답안지 제출하고 나간다.

 

3. 책

언제나 그렇듯 먼저 여기저기 책을 알아보고, 이정도면 충분하다고 해서 구매했다. 

구민사 2022 산업안전기사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aver?bid=15558399

저자가 운영중인 네이버카페에서 여러 최신 정보들을 얻을 수 있고(책 구매 사진 인증 후 등업),

유튜브에 무료 인강 영상도 있다. 

 

4. 공부방법

산업안전기사 필기는 다른 기사에 비해서 훨씬 쉬운편이기도 하고,

CBT로 기출문제만 계속 돌리면서 관련 내용 암기하면 굳이 책이 없어도 충분하다.

(나는 15년도부터 7개년치 공부했다.)

단순히 문제 통째로 암기하기보단 관련 내용을 어느정도 이해하면서 암기해야 한다.

보기가 조금씩 바뀌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고,

어느정도 용어나 내용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필답 때 암기가 수월할 것으로 생각된다.

(대부분의 기사 필기, 실기를 준비하는 데 있어서 동일할 것이다.)

CBT 랜덤으로 돌려서 75~80 수준으로 꾸준히 나올 정도면, 실전에서 60점은 무난하지 싶다.

 

** 과락 주의 과목 **

2과목 :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 과락 주의 과목이라고 하는데, 확실히 기출 돌려보니 점수 편차가 심하더라. 

4과목 : 전기위험방지기술

- 전기라는게 일반적으로 비전공자들에게 어려울 수 밖에 없는듯하다. 신출 비중이 높다고도 한다.

 

5. 산업안전보건법 개정

산업안전기사는 기본적으로 '산업안전보건법'에 기반한다.

그런데 산업안전보건법이 상대적으로 개정이 좀 잦은 편이다.

그래서 처음에는 기출이 별로 도움안될까봐 걱정을 좀 했는데 걱정을 할 정도는 아니었다.

개정으로 인해 문제의 답이 바뀌는 문제들이 생각보다 별로 없었다.

CBT에도 개정된 문제들은 다 표기가 되어있다.

 

 

어느 시험이나 그렇듯 배경지식을 얼마나 가지고 있는지에 따라 공부방법, 준비기간 등은 달라진다.

기계, 전기, 화공 등 관련 전공을 한 사람들은 적어도 한 과목은 편하게 갈 수 있다.

여기에 더해 관련 업무 경험이 있는 사람들은 훨씬 편하게 갈 수 있다.

며칠 안남았는데 시작도 안했다고 포기하지말았으면 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