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화공기사/단위조작 및 화공양론5

베르누이 방정식 가정(전제) 여러 화공 시험에 단골로 출제되는 베르누이 식의 가정으로 틀린 것은? 그럼 베르누이 식의 가정을 알아보자. 1. 유체는 비압축성이어야 한다. 압력이 변하는 경우에도 밀도는 변하지 않아야 한다.2. 유선이 경계층을 통과하여서는 안 된다.3. 점성력이 존재하지 않아야 한다.4. 정상상태여야 한다.5. 하나의 유선에 대해서만 적용된다. 이 정도가 자주 나오는데.. 하도 자주봐서 잘 알고 있다고 생각했는데나는 3번을 아주 잘못 알고 있었다...Newtonian fluid 여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fail...점성력에 의한 마찰은 무시되어야 한다.점성력이 존재하지 않아야 된다. 비점성이어야 한다. 이런 표현들이 있겠다. 베르누이 식은 Newtonian fluid 를 비롯하여 어떤 실제 유체에서도 유효하지.. 2019. 1. 23.
[화공기사] 고액추출(leaching,침출),추제비,추출률,추잔율 이 글은 명확한 개념이 없는 학부 졸업 나부랭이 백수가 쓴 글로 신뢰도가 떨어질 수 있으니 참고하기 바랍니다.혹시 오류가 있다면 말씀해 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고액추출 자료가 너무 없어요..전공책에도 잘 안나오고.. 전반적인 중요도가 떨어지지 싶은데 화공기사에 그 이상으로 자주 나오는것 같음..) 고액추출(leaching, 침출)에 대해서 얘기해보고자 한다. 이 글은 액액추출(extraction)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므로 아래 글에 들렀다오길 바란다. https://for-freeedom.tistory.com/19 고액추출의 예시를 들어보면,광물에서 원하는 용매를 작용시켜 원하는 물질을 꺼내는 것, 마찬가지로 콩에서 원하는 유분을 꺼내는 것 등이 있다. 고액추출은 두 단계로 진행된다.1. 고체와 추.. 2019. 1. 19.
[화공기사] 추출,삼각도법,추출상,추잔상,tie line,상접점,상계점,분배계수,선택도 액액 추출, 삼각도법을 공부하기에 좋은 문제가 있어 예를 들어 설명해 보려고 한다.https://for-freeedom.tistory.com/38 ① E의 질량은 ② 추출률은 ③ 분배 계수는 3이다. ④ 선택도는 2.1이다. 정답 : 4번 (액액)추출이란 무엇이냐? 추제를 사용하여 혼합물로부터 추질을 선택적으로 분리해 내는 것 예를들어, 물에 초산이 섞여있는데 벤젠을 가하여 초산만을 용해시켜 분리해내는 작업이다. 이렇게 보통 3가지 물질이 등장한다. 용어 정리를 하자면, - 추료(F) : 시료, 추출의 원료 (물+초산) - 원용매(B) : 추질을 원래 녹이고 있던 물질, 추제에는 녹지 않는. (물) - 추질(A) : 녹이고자 하는 목표 물질 (초산) - 추제(S) : 추질을 녹이기 위해 가해주는 용매 (.. 2019. 1. 13.
[화공기사] 볼밀 (ball mill) 난 왜 분쇄가 좋지? 저번 롤 분쇄기에 이은 볼밀이다. 볼밀은 수평으로 놓인 원통에 쇠구슬과 부수고 싶은 원료를 함께 넣고 돌리면, 원료가 쇠구슬에 부숴지는 원리이다. 쉽죠? 주로 광물을 분쇄하는 데 쓴다고.. 시험에 나올만한 개념 1. 최대 회전수 직경이 커질수록 회전수는 작아진다. 뭐 덩치가 커지니 느려지겠지. 그리고 계산한 최대 회전수의 75%가 가장 능률적이라고 한다. 2. 로드밀 (rod mill) 쇠구슬 대신에 쇠막대(rod)를 넣은 것 볼밀에 비해 회전수가 작다. 이 정도만 알아도 한 문제 건질지도? 2019. 1. 12.
[화공기사] 롤(roll) 분쇄기 계산 문제가 간혹 1문제씩 나오는 롤 분쇄기다. 로울 분쇄기! 말 그대로 원기둥 두개가 나란히 돌아가면서 입자를 잘게 부수는 기계이다. 나오는 문제가 정해져 있고 간단한데 모르면 틀린다. 합격하는데는 지장 없지만 공부할 사람은 공부하자. 이 그림만 보면 벌써 다 이해됐다. 반지름 r인 입자가 roll 사이에 끼어서 부숴져서 반지름 d인 입자가 되는거다. 롤 분쇄기 관련식은, 2α : 물림각, μ : 마찰계수, R : 롤 반지름 r : 입자 반지름(분쇄 전), d : 롤 사이 거리/2(입자 반지름(분쇄 후)) 그림을 외우면 식 외우기가 좀 더 쉽지 않을까? 그래도 기억 안나긴 하더라.. 이 정도만 알아도 화공기사 풀기에는 문제 없지 않나 싶다. 혹시 이걸로 못푸는 문제 발견하면 추가하겠다.. 2019. 1.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