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회18

화공기사 2017년 1회 기출 풀이(96번,97번,98번,99번,100번) * 합격을 위해 맞춰야할 문제 : 96번, 97번, 98번, 99번, 100번 96. 공간시간과 평균체류 시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밀도가 일정한 반응계에서는 공간시간과 평균체류 시간은 항상 같다. ② 부피가 팽창하는 기체 반응의 경우 평균체류 시간은 공간시간보다 작다. ③ 반응물의 부피가 전화율과 직선 관계로 변하는 관형반응기에서 평균체류 시간은 반응속도와 무관하다. ④ 공간시간과 공간속도의 곱은 항상 1 이다.정답 : 3번----------------------------------------------------------------------------------------------------1번 : 밀도가 일정하면 부피유량이 바뀌지 않기 때문에 공간시간과 평균체류시간은 같다.2번 :.. 2019. 2. 16.
화공기사 2017년 1회 기출 풀이(**91번,92번,93번,94번,95번) * 합격을 위해 맞춰야할 문제 : 91번, 92번, 93번, 95번 91. 평형 전화율에 미치는 압력과 비활성 물질의 역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평형상수는 반응속도론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② 평형상수는 압력에 무관하다. ③ 평형상수가 1보다 많이 크면 비가역 반응이다. ④ 모든 반응에서 비활성 물질의 감소는 압력의 감소와 같다.정답 : 4번----------------------------------------------------------------------------------------------------1번 : 반응속도론에 몇가지가 있지만 대표적으로 아레니우스식을 떠올려보자.2번 : 평형상수는 압력, 농도, 촉매 등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3번 : 1보다 많이 크면 비가역이라.. 2019. 2. 16.
화공기사 2017년 1회 기출 풀이(86번,87번,*88번,89번,90번) * 합격을 위해 맞춰야할 문제 : 86번, 89번, 90번 86. 화학평형에서 열역학에 의한 평형상수에 다음 중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① 계의 온도 ② 불활성물질의 존재 여부 ③ 반응속도론 ④ 계의 압력정답 : 1번----------------------------------------------------------------------------------------------------기본에 충실하자.---------------------------------------------------------------------------------------------------- 87. A→B⇄R 인 복합반응의 회분조작에 대한 3성분계 조성도를 옳게 나타낸 것은? ① ② ③ ④ 정답 : 3번.. 2019. 2. 16.
화공기사 2017년 1회 기출 풀이(81번,82번,83번,84번,85번) * 합격을 위해 맞춰야할 문제 : 81번, 82번, 83번, 84번, 85번 81. 크기가 다른 3개의 혼합흐름반응기(mixed flow reactor)를 사용하여 2차 반응에 의해서 제품을 생산하려 한다. 최대의 생산율을 얻기 위한 반응기의 설치 순서로서 옳은 것은?(단, 반응기의 부피 크기는 A>B>C 이다.) ① A → B → C ② B → A → C ③ C → B → A ④ 순서에 무관정답 : 3번----------------------------------------------------------------------------------------------------n>1 일 때 PFR에서는 반응기를 큰 것 부터 배치하고,CSTR에서는 작은 것 부터 배치한다.-----------------.. 2019. 2. 16.
화공기사 2017년 1회 기출 풀이(56번,57번,*58번,59번,60번) * 합격을 위해 맞춰야할 문제 : 56번, 59번, 60번 56. 어떤 제어계의 총괄전달함수의 분모가 다음과 같이 나타날 때 그 계가 안정하게 유지되려면 K의 최대범위(upper bound)는 다음 중에서 어느 것이 되어야 하는가? ① K<5 ② K<1 ③ K<1/2 ④ K<1/3정답 : 1번----------------------------------------------------------------------------------------------------총괄전달함수의 분모라고 했으니까 =0 이 특성방정식이다.routh array 로 어렵지 않게 구할 수 있다.6-1-k > 0-----------------------------------------------------------------.. 2019. 2. 15.
화공기사 2017년 1회 기출 풀이(51번,*52번,53번,54번,55번) * 합격을 위해 맞춰야할 문제 : 51번, 54번, 55번 51. 의 Laplace 역변환은? ① y(t) = exp(-at)sin(wt) ② y(t) = sin(wt) ③ y(t) = exp(at)cos(wt) ④ y(t) = exp(at) 정답 : 1번 ---------------------------------------------------------------------------------------------------- 여기에 를 곱해주면 된다. ---------------------------------------------------------------------------------------------------- 52. 과소감쇠 2차계(underdamped system)의 경우 .. 2019. 2. 15.
화공기사 2017년 1회 기출 풀이(*46번,47번,48번,49번,50번) * 합격을 위해 맞춰야할 문제 : 47번, 48번, 49번, 50번 46. 전달함수가 G(s)=Kexp(-θs)/(τs+1)인 공정에 공정입력 u(t)=sin(√2t)을 적용했을 때, 시간이 많이 흐른 후 공정출력 y(t)=(2/√2)sin(√2t-π/2)이었다. 또한, u(t)=1을 적용하였을 때 시간이 많이 흐른 후 y(t)=2이었다. K, θ, τ 값은 얼마인가? ① K=1, τ=1/√2, θ=π/2√2 ② K=1, τ=1/√2, θ=π/4√2 ③ K=2, τ=1/√2, θ=π/4√2 ④ K=2, τ=1/√2, θ=π/2√2정답 : 3번--------------------------------------------------------------------------------------------.. 2019. 2. 15.
화공기사 2017년 1회 기출 풀이(41번,42번,43번,44번,45번) * 합격을 위해 맞춰야할 문제 : 41번, 44번 41. 제어계의 피제어 변수의 목표치를 나타내는 말은? ① 부하(load) ② 골(goal) ③ 설정치(set point) ④ 오차(error)정답 : 3번----------------------------------------------------------------------------------------------------설정점, 설정치---------------------------------------------------------------------------------------------------- 42. 제어기를 설계할 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일반적으로 제어기의 강인성(robustness)과 성능(perform.. 2019. 2. 14.
화공기사 2017년 1회 기출 풀이(36번,37번,38번,39번,40번) * 합격을 위해 맞춰야할 문제 : 36번, 37번, 39번, 40번 36. 내경 10cm 관을 통해 층류로 물이 흐르고 있다. 관의 중심 유속이 2cm/s 일 경우 관벽에서 2cm 떨어진 곳의 유속은 약 몇 cm/s 인가? ① 0.42 ② 0.86 ③ 1.28 ④ 1.68정답 : 3번----------------------------------------------------------------------------------------------------내가 좀 특이하게 풀긴 하는데..원리는 당연히 같다.유속으로 2차함수 그래프를 그려보자.x=0일 때 y=2, x=±5일 때 y=0y=-ax^2+2 라고 하면, 위 조건에서 a=2/25즉, y=-(2/25)x^2+2 식을 따른다.문제에서 x=3일 때 .. 2019. 2. 14.
화공기사 2017년 1회 기출 풀이(31번,32번,33번,34번,35번) * 합격을 위해 맞춰야할 문제 : 31번, 35번 31. 추제(solvent)의 선택요인으로 옳은 것은? ① 선택도가 작다. ② 회수가 용이하다. ③ 값이 비싸다. ④ 화학결합력이 크다.정답 : 2번----------------------------------------------------------------------------------------------------선택도가 커야하고,회수가 용이하여야하고,값이 싸야 하고,화학결합력은 약해야 한다.(반응성 낮아야 함. 추출은 화학 반응으로 하는 게 아님)---------------------------------------------------------------------------------------------------- 32. Prand.. 2019. 2. 14.
화공기사 2017년 1회 기출 풀이(26번,27번,28번,29번,30번) * 합격을 위해 맞춰야할 문제 : 26번, 27번, 28번, 29번, 30번 26. 지하 220m 깊이에서부터 지하수를 양수하여 20m 높이에 가설된 물탱크에 15kg/s의 양으로 물을 올리고 있다. 이 때 위치 에너지(potential energy)의 증가분(△Ep)은 얼마인가? ① 35280J/s ② 3600J/s ③ 3250J/s ④ 205J/s정답 : 1번----------------------------------------------------------------------------------------------------위치에너지 = mgh15 * 9.8 * (220+20) = 35280--------------------------------------------------------.. 2019. 2. 14.
화공기사 2017년 1회 기출 풀이(21번,22번,23번,24번,25번) * 합격을 위해 맞춰야할 문제 : 21번, 22번, 23번, 24번 21. 몰 조성이 79% N2 및 21% O2 인 공기가 있다. 20℃, 740 mmHg 에서 이 공기의 밀도는 약 몇 g/L 인가? ① 1.17 ② 1.34 ③ 3.21 ④ 6.45정답 : 1번----------------------------------------------------------------------------------------------------밀도 = w(질량)/Vw = Mw(분자량)*nPV = nRT1/V = P/nRT밀도 = w*P/nRT = Mw(분자량)*n*P/nRT밀도 = Mw*P / RT = {29(g/mol) * (740/760)(atm)} / {0.0821(atmL/molK) * 293(K)}(.. 2019. 2. 14.
화공기사 2017년 1회 기출 풀이(16번,17번,18번,19번,20번) * 합격을 위해 맞춰야할 문제 : 17번, 18번, 19번 16. 이상기체의 거동을 따르는 산소와 질소를 0.21 대 0.79의 몰(mol)비로 혼합할 때에 혼합엔트로피 값은? ① 0.4434kcal/kmolㆍK ② 1.021kcal/kmolㆍK ③ 0.161kcal/kmolㆍK ④ 0.00kcal/kmolㆍK정답 : 2번----------------------------------------------------------------------------------------------------흔한 엔트로피 변화 계산 문제는 아니다.혼합의 물성변화 part 에 보면 (과잉성질 나오는..)이 식이 있다. 외워서 그대로 쓰면 된다. = -1.987kcal/molK * (0.21*ln(0.21) + 0.7.. 2019. 2. 14.
화공기사 2017년 1회 기출 풀이(11번,12번,13번,14번,15번) * 합격을 위해 맞춰야할 문제 : 11번, 12번, 13번, 15번 11. 25℃에서 1몰의 이상기체가 20atm 에서 1atm 로 단열 가역적으로 팽창하였을 때 최종온도는 약 몇 K 인가?(단, 비열비이다.) ① 100K ② 90K ③ 80K ④ 70K정답 : 2번----------------------------------------------------------------------------------------------------PV^k = const.---------------------------------------------------------------------------------------------------- 12. 다음 그림은 역 카르노사이클이다. 이 사이클의 성능계수는.. 2019. 2. 14.
화공기사 2017년 1회 기출 풀이(6번,7번,*8번,9번,10번) * 합격을 위해 맞춰야할 문제 : 6번, 9번, 10번 6. 벤젠과 톨루엔으로 이루어진 용액이 기상과 액상으로 평형을 이루고 있을 때 이 계에 대한 자유도수는? ① 0 ② 1 ③ 2 ④ 3정답 : 3번----------------------------------------------------------------------------------------------------F = C - P + 2 - r - sC = 2, (벤젠, 톨루엔)P = 2, (액체, 기체)r = 0, (독립적인 화학 평형식의 수)s = 0, (특별 조건)F = 2, (온도와 압력에 따라 결정)---------------------------------------------------------------------------.. 2019. 2. 14.
화공기사 2017년 1회 기출 풀이(1번,2번,3번,4번,5번) * 합격을 위해 맞춰야할 문제 : 1번, 2번, 3번, 5번 1. 액체상태의 물이 얼음 및 수증기와 평형을 이루고 있다. 이 계의 자유도수를 구하면? ① 0 ② 1 ③ 2 ④ 3정답 : 1번----------------------------------------------------------------------------------------------------F = C - P + 2 - r - sC = 1, (H2O)P = 3, (고체, 액체, 기체)r = 0, (독립적인 화학 평형식의 수)s = 0, (특별 조건)F = 0,-------------------------------------------------------------------------------------------------.. 2019. 2. 14.
화공기사 2018년 1회 기출 풀이(*16번,17번,18번,19번,20번) * 합격을 위해 맞춰야할 문제 : 17번, 18번, 19번, 20번 16. 이상기체 혼합물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단, 는 일정온도 T에서의 적분상수, 는 이상기체 혼합물 중 성분 i의 몰분율이다.) ① 이상기체의 혼합에 의한 엔탈피 변화는 0이다. ② 이상기체의 혼합에 의한 엔트로피 변화는 0보다 크다. ③ 동일한 T, P에서 성분 i의 부분몰부피는 순수성분의 몰부피보다 작다. ④ 이상기체 혼합물의 깁스(Gibbs) 에너지는 이다. 정답 : 3번 ---------------------------------------------------------------------------------------------------- 어려워서 정확히는 모르겠지만 이상용액을 얘기할 때 혼합하는 과정에서의.. 2019. 1. 9.
화공기사 2018년 1회 기출 풀이(11번,12번,*13번,14번,15번) * 합격을 위해 맞춰야할 문제 : 11번, 12번, 14번 11. 비가역 과정에서의 관계식으로 옳은 것은? ① dS > 0 ② dS < 0 ③ dS = 0 ④ dS = -1 정답 : 1번 ---------------------------------------------------------------------------------------------------- 가역과정에서 ds=0, 비가역일 때 ds>0이다. 비가역과정에서 엔트로피는 증가! ---------------------------------------------------------------------------------------------------- 12. 이상기체 3mol 이 50℃ 에서 등온으로 10atm 에서 1atm 까지 .. 2019. 1.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