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합격을 위해 맞춰야할 문제 : 37번, 40번
① 결합력이 상당히 큰 경우
② 용액의 농도가 묽을 경우
③ 용질의 분자량이 큰 경우
④ 화학적으로 반응할 경우
정답 : 2번
----------------------------------------------------------------------------------------------------
뜬금없이 분배의 법칙...이 뭐지.. 보기를 보자..
뭔진 모르겠지만 묽어야할 것 같은데..
찾아보니!
네른스트의 분배법칙 이라고
추출에서 나오는 분배계수 개념에서 그 분배다.
묽은용액에서 성립한다고 한다. 하나 배웠다.
추출 분배계수 개념 링크
https://for-freeedom.tistory.com/19
----------------------------------------------------------------------------------------------------
37. 가로 30cm, 세로 60cm 인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도관에 세로 35cm 까지 액체가 차서 흐르고 있다. 상당직경(equivalent diameter)은 얼마인가?
① 62cm ② 52cm ③ 42cm ④ 32cm
정답 : 3번
----------------------------------------------------------------------------------------------------
상당직경=4*유로의 단면적/젖은 벽의 총 길이
=4*30*35/(30+35+35) = 42
여기서 주의해야 할게 단면적은 도관의 단면적이 아닌 유로의 단면적이므로 30*35이다
또 젖은 벽의 총 길이기 때문에 젖지않은 뚜껑(?)의 길이는 빼줘야 한다.
----------------------------------------------------------------------------------------------------
38. 증류탑의 ideal stage(이상단)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stage(단)를 떠나는 두 stream(흐름)은 서로 평형 관계를 이루고 있다.
② 재비기(Reboiler)는 한 ideal stage로 계산한다.
③ 부분응축기(partial condenser)는 한 ideal stage로 계산한다.
④ 전응축기(Total condenser)는 한 ideal stage로 계산한다.
정답 : 4번
----------------------------------------------------------------------------------------------------
오우..몰라 몰라..
단을 떠나는 두 흐름은 평형이겠지? 이건 알겠다.
리보일러 한 단으로 계산하는 건 많이들 알고 있을거다.
부분응축기 전응축기를 모르겠다.
대충 공부해보니,
부분응축기는 일반적으로 쓰는 응축기로 전량이 아닌 부분적으로 응축시키고,
전응축기는 전량을 응축시킨다.
부분응축기는 한 ideal stage로 계산하고(reboiler처럼), 전응축기는 그게 아닌가보다...
----------------------------------------------------------------------------------------------------
39. 다음 그림과 같은 건조속도 곡선(X는 자유수분, R은 건조속도)을 나타내는 고체는?
(단, 건조는 A→B→C→D 순서로 일어난다.)
① 비누 ② 소성점토 ③목재 ④ 다공성 촉매입자
정답 : 4번
----------------------------------------------------------------------------------------------------
이놈의 건조는 아주 쉽게 나와야 풀거 같은데 이정도만 나와도 못풀겠다.
그림이 잘렸는데 y축이 R이다.
대략적으로 해설을 해보면,
A-B구간은 예열 기간
기울기가 일정한 직선 부분(B-A)은 항률 건조 기간
C-D는 감률 건조 기간인데
감률 건조 기간이 그림처럼 두 구간으로 나누어지는 경우
제1단계, 제2단계로 구분하며
다공성인 경우이다.
----------------------------------------------------------------------------------------------------
40. 탑내에서 기체속도를 점차 증가시키면 탑내 액정체량(hold up)이 증가함과 동시에 압력손실도 급격히 증가하여 액체가 아래로 이동하는 것을 방해할 때의 속도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평균속도 ② 부하속도 ③ 초기속도 ④ 왕일속도
정답 : 2번
----------------------------------------------------------------------------------------------------
공부를 좀 했다라고 한다면 충진탑에 관한 내용이고,
부하속도 아니면 왕일속도라는 건 알텐데...
헷갈린다.
부하속도(loading velocity)
: 기체의 속도가 차차 증가하면 탑내의 액체 유량이 증가한다. 이때의 속도를 부하속도라 한다.
왕일점(flooding point)
: 기체의 속도가 아주 커서 액이 거의 흐르지 않고 넘는 점(비말동반이 일어나는 점)이며,
향류 조작이 불가능하다.
----------------------------------------------------------------------------------------------------
'화공기사 > 2018년 4회 필기 기출 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공기사 2018년 4회 기출 풀이(46번,47번,48번,49번,50번) (0) | 2019.01.18 |
---|---|
화공기사 2018년 4회 기출 풀이(41번,42번,43번,*44번,*45번) (4) | 2019.01.17 |
화공기사 2018년 4회 기출 풀이(*31번,32번,33번,34번,*35번) (2) | 2019.01.17 |
화공기사 2018년 4회 기출 풀이(26번,27번,*28번,**29번,30번) (4) | 2019.01.17 |
화공기사 2018년 4회 기출 풀이(*21번,22번,23번,24번,25번) (2) | 2019.01.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