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역1 정압열용량(Cp)은 압력이 일정할 때만 쓸 수 있을까? 화공기사 공부를 하면서 초심자들이 많이들 헷갈려 하는 부분이라 한 번 정리해보려고 한다. 내부에너지 변화량이나 엔탈피 변화량을 계산하는 문제가 나올 때, dH=CpdT, dU=CvdT 식 많이들 써보셨을 거다. (대부분의 문제는 냅다 적용하면 풀리긴 한다..) 그럼 dH=CpdT 식은 정압열용량을 사용했으니 압력이 일정한 정압공정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식일까? 답은 "아니오"다. "이상기체"의 임의의 상태변화에 대해서 모두 적용 가능하다.(등온, 정압, 정적, 단열 등) 그래서 "가역적"인 경우는 물론 "비가역적"인 경우도 적용 가능하다. 유도과정은 웬만한 책에는 다 있으니 천천히 보도록하고.. 상태함수 개념으로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위 식들은 모두 상태함수의 변화에만 관계된 식이다.(U, H,.. 2019. 1. 9.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