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합격을 위해 맞춰야할 문제 : 6번, 8번
①
②
③
④
정답 : 1번
----------------------------------------------------------------------------------------------------
그래프로 표현하면 U자형이다.
최소가 되는 점에서 평형이고,
그 최소가 되는 점에서 미분값 = 0 이다.
그냥 암기할만한 식이다.
----------------------------------------------------------------------------------------------------
7. 액화공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일정 압력 하에서 열교환에 의해 기체는 액화될 수 있다.
② 등엔탈피 팽창을 하는 조름공정(throttling process)에 의하여 기체를 액화시킬 수 있다.
③ 기체는 터빈에서 등엔트로피 압축에 의하여 액화된다.
④ 린데(Linde)공정과 클라우데(Claude)공정이 대표적인 액화 공정이다.
정답 : 3번
----------------------------------------------------------------------------------------------------
1번 : 그러하다.
2번 : 액화시키기 위해 throttling process 를 쓴다는 점을 알아두자.
3번 : 등엔트로피(가역단열) 압축을 하면 온도는 상승하고(액화x), 이는 압축기에서 일어난다.
4번 : 그러하다.
----------------------------------------------------------------------------------------------------
8. 실제기체가 이상기체에 가장 가까울 때의 조건은?
① 저압고온
② 저압저온
③ 고압저온
④ 고압고온
정답 : 1번
----------------------------------------------------------------------------------------------------
반드시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할 내용이다.
----------------------------------------------------------------------------------------------------
9. 증기 터빈(steam turbine)에서 가장 많은 동력을 얻을 수 있는 공정은?
① 등온공정
② 등엔탈피공정
③ 등엔트로피공정
④ 정압공정
정답 : 3번
----------------------------------------------------------------------------------------------------
터빈에서 일을 생산하는 과정은 등엔트로피 팽창 과정이다.
이를 알고있다면 쉽게 고를 수 있고, 헷갈린다면, 아래와 같이 생각해보자.
증기 터빈이면 랭킨 사이클을 떠올리면 되겠다. (가스터빈은 브레이튼 사이클)
뭐 이 문제에서 그게 중요한 건 아닌듯 하고,
단열2개, 정압2개로 이루어진 공정을 떠올리면 되겠다.
그러면 단열(등엔트로피) 공정과 정압공정으로 답이 압축되는데
단열공정에서 열이 출입하지는 않으니 정압공정에서 열이 출입하고,
단열공정에서 일이 발생한다고 생각하면 될 듯 하다.
(쓰고 보니 이런 생각의 전개는 좀 개인적인 것 같아서 별 도움이 안 될 것 같다.)
----------------------------------------------------------------------------------------------------
10. 공비혼합물을 이루는 어느 이성분계혼합물이 있다. 일정한 온도에서 P-x선도가 다음의 식으로 표시된다고 할 때 이 온도에서 이 혼합물의 공비점의 조성()은?
① 0.35
② 0.45
③ 0.60
④ 0.75
정답 : 4번
----------------------------------------------------------------------------------------------------
최고공비혼합물이나 최저공비혼합물의 그래프를 떠올려 보자.
최고점과 최저점이 공비점이다.
즉, 미분하면 0이 되는 점이다.
4x-3=0 , x=0.75
----------------------------------------------------------------------------------------------------
'화공기사 > 2016년 1회 필기 기출 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공기사 2016년 1회 기출 풀이(26번,27번,28번,29번,30번) (2) | 2019.03.16 |
---|---|
화공기사 2016년 1회 기출 풀이(21번,22번,23번,24번,25번) (1) | 2019.03.16 |
화공기사 2016년 1회 기출 풀이(16번,17번,*18번,*19번,20번) (1) | 2019.03.16 |
화공기사 2016년 1회 기출 풀이(11번,*12번,13번,14번,15번) (5) | 2019.03.16 |
화공기사 2016년 1회 기출 풀이(1번,2번,3번,4번,5번) (0) | 2019.03.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