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1번~35번
31. 혼합흐름반응기에서 A + R → R + R인 자동촉매반응으로 99mol% A와 1mol% R인 반응물질을 전환시켜서 10mol% A와 90mol% R인 생성물을 얻고자 할 때, 반응기의 체류시간(min)은?
(단, 혼합반응물의 초기농도는 1mol/L이고, 반응상수는 1L/mol·min이다.)
① 6.89
② 7.89
③ 8.89
④ 9.89
정답 : 4번
----------------------------------------------------------------------------------------------------
일반적인 반응공학 계산문제는 설계식, 전화율식, 반응속도식 등
몇 개 써놓고 이리저리 조합하면 해결되는 경우가 많다.
CSTR 설계식 $\tau=\frac{V}{v_{0}}=\frac{C_{A 0} X_{A}}{-r_{A}}$ 에
아래 두 식을 대입하면,
$-r_{A}=k C_{A} C_{R}$
$X_{A}=\frac{C_{A 0}-C_{A}}{C_{A 0}}$
$\tau=\frac{C_{A 0} \frac{C_{A 0}-C_{A}}{C_{A 0}}}{k C_{A} C_{R}}=\frac{C_{A 0}-C_{A}}{k C_{A} C_{R}}$
문제로부터, $ C_{A 0}=0.99, C_{A}=0.1, C_{A 0}=0.99, k=1, C_{R}=0.9$
대입하면, (0.99-0.1)/0.09 = 9.89
----------------------------------------------------------------------------------------------------
32. 자동촉매반응(autocatalytic reaction)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전화율이 작을 때는 플러그흐름 반응기가 유리하다.
② 전화율이 작을 때는 혼합흐름 반응기가 유리하다.
③ 전화율과 무관하게 혼합흐름 반응기가 항상 유리하다.
④ 전화율과 무관하게 플러그흐름 반응기가 항상 유리하다.
정답 : 2번
----------------------------------------------------------------------------------------------------
아래 2018년 1회 98번과 거의 같은 문제이다.
https://for-freeedom.tistory.com/15
화공기사 2018년 1회 기출 풀이(96번,97번,98번,99번,100번)
* 합격을 위해 맞춰야할 문제 : 96번, 97번, 99번 96. 어떤 물질의 분해반응은 비가역 1차반응으로 90% 까지 분해하는데 8123초가 소요되었다면 40% 분해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약 몇 초인가? ① 1802
for-freeedom.tistory.com
전화율이 작을 때는 혼합흐름 반응기가 유리,
전화율이 클 때는 플러그흐름 반응기가 유리
----------------------------------------------------------------------------------------------------
33. 1차 직렬반응을 아래와 같이 단일반응으로 간주하려 할 때, 단일반응의 반응속도상수($k; \mathrm{s}^{-1}$)은?
$\mathrm{A} \stackrel{k_{1}}{\longrightarrow} \mathrm{R} \stackrel{k_{2}}{\longrightarrow} \mathrm{S} \cdots k_{1}=200 \mathrm{~s}^{-1}, k_{2}=10 \mathrm{~s}^{-1}$
$\mathrm{~A} \stackrel{k}{\longrightarrow} \mathrm{S}$
① 11.00
② 9.52
③ 0.11
④ 0.09
정답 : 2번
----------------------------------------------------------------------------------------------------
\( \frac{1}{k}=\frac{1}{k_{1}}+\frac{1}{k_{2}} \)
이렇게 하면 답이 나오는데,
왜 이렇게 하는지는 모르겠다..
----------------------------------------------------------------------------------------------------
34. 반응물 A와 B가 R과 S로 반응하는 아래와 같은 경쟁반응이 혼합흐름 반응기(CSTR)에서 일어날 때, A의 전화율이 80%일 때 생성물 흐름 중 S의 함량(mol%)은?
(단, 반응기로 유입되는 A와 B의 농도는 각각 20mol/L이다.)
$\mathrm{A}+\mathrm{B} \rightarrow \mathrm{R} \cdots \cdots \cdots \cdots \cdots \cdots \cdots \mathrm{dC}_{\mathrm{R}} / \mathrm{dt}=\mathrm{C}_{\mathrm{A}} \mathrm{C}_{\mathrm{B}}{}^{0.3}$
$\mathrm{A}+\mathrm{B} \rightarrow \mathrm{S} \cdots \cdots \cdots \cdots \cdots \cdots \cdots \mathrm{d} \mathrm{C}_{\mathrm{S}} / \mathrm{dt}=\mathrm{C}_{\mathrm{A}}{ }^{0.5} \mathrm{C}_{\mathrm{B}}{}^{1.8}$
① 33.3
② 44.4
③ 55.5
④ 66.6
정답 : 2번
----------------------------------------------------------------------------------------------------
R에 대한 순간수율을 계산해보면,
\( \phi_{R}=-\frac{d C_{R}}{d C_{A}}=\frac{\frac{d C_{R}}{d t}}{-\frac{d C_{A}}{d t}}=\frac{C_{A} C_{B}{}^{0.3}}{C_{A} C_{B}{}^{0.3}+C_{A}{}^{0.5} C_{B}{}^{1.8}} \)
반응식을 봐도 초기농도를 봐도 A는 B와 다를게 없다.
CA=CB 로 간단하게 정리할 수 있다.
\( \phi_{R}=\frac{C_{A}{}^{1.3}}{C_{A}{}^{1.3}+C_{A}{}^{2.3}}=\frac{1}{1+C_{A}} \)
마찬가지로 S에 대해서도 정리하면,
\( \phi_{S}=-\frac{d C_{S}}{d C_{A}}=\frac{\frac{d C_{S}}{d t}}{-\frac{d C_{A}}{d t}}=\frac{C_{A}{}^{0.5} C_{B}{}^{1.8}}{C_{A} C_{B}{}^{0.3}+C_{A}{}^{0.5} C_{B}{}^{1.8}} \)
\( \phi_{S}=\frac{C_{A}{}^{2.3}}{C_{A}{}^{1.3}+C_{A}{}^{2.3}}=\frac{C_{A}}{1+C_{A}} \)
CSTR에서 반응기를 나오는 R의 농도는
\( \phi_{(C_{Af})}*(C_{A0}-C_{Af}) \)
https://for-freeedom.tistory.com/161
화공기사 2019년 1회 기출 풀이(81번,82번,83번,84번,85번)
* 합격을 위해 맞춰야할 문제 : 81번, 82번, 83번, 85번 81. 다음 그림은 균일계 비가역 병렬 반응이 플러그 흐름반응기에서 진행될 때 순간수율 와 반응물의 농도( )간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빗금
for-freeedom.tistory.com
19년 1회 81번은 PFR에서의 개념이고
이 문제처럼 CSTR에서는 적분하는 넓이가 아닌 직사각형의 넓이이다.
전화율이 80%이므로, \( C_{A_{0}}=20, C_{A_{f}}=4 \)
반응기를 나오는 R의 농도는 1/(1+4) * (20-4) = 3.2
반응기를 나오는 S의 농도는 4/(1+4) * (20-4) = 12.8
반응기를 나오는 A의 농도는 4
반응기를 나오는 B의 농도는 4
S의 비율은,
12.8 / (4+4+3.2+12.8) = 53.33%
답이 안나오네??
----------------------------------------------------------------------------------------------------
35. 크기가 다른 두 혼합흐름 반응기를 직렬로 연결한 반응계에 대하여, 정해진 유량과 온도 및 최종 전화율 조건하에서 두 반응기의 부피합이 최소가 되는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n는 반응차수를 의미한다.)
① n=1인 반응에서는 크기가 다른 반응기를 연결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② n>1인 반응에서는 작은 반응기가 먼저 와야 한다.
③ n<1인 반응에서는 큰 반응기가 먼저 와야 한다.
④ 두 반응기의 크기 비는 일반적으로 반응속도와 전화율에 따른다.
정답 : 1번
----------------------------------------------------------------------------------------------------
https://for-freeedom.tistory.com/254
화공기사 2015년 1회 기출 풀이(86번,87번,88번,89번,90번)
* 합격을 위해 맞춰야할 문제 : 86번, 87번, 88번 86. 회분식 반응기 내에서의 균일계 1차 반응 A→R 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부적절한 것은? ① 반응속도는 반응물 A 의 농도에 정비례 한다. ② 반응
for-freeedom.tistory.com
15년 1회 88번과 거의 같은 문제이다.
1차 반응이면 부피가 같은 반응기를 사용한다.
1차 보다 크면 작은 반응기가 먼저 와야 한다.
1차 보다 작으면 큰 반응기가 먼저 와야 한다.
----------------------------------------------------------------------------------------------------
'화공기사 > 2022년 1회 필기 기출 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공기사 2022년 1회 기출 풀이(46번,47번,48번,49번,50번) (0) | 2022.03.27 |
---|---|
화공기사 2022년 1회 기출 풀이(41번,42번,43번,44번,45번) (0) | 2022.03.27 |
화공기사 2022년 1회 기출 풀이(36번,37번,38번,39번,40번) (0) | 2022.03.26 |
화공기사 2022년 1회 기출 풀이(26번,27번,28번,29번,30번) (0) | 2022.03.22 |
화공기사 2022년 1회 기출 풀이(21번,22번,23번,24번,25번) (2) | 2022.03.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