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합격을 위해 맞춰야할 문제 : 51번, 52번, 54번, 55번
(단, U(t)는 단위계단함수이다.)
① (cost+1+t)U(t)
② (-sint+t)U(t)
③ (-cost+1+t)U(t)
④ (sint-t)U(t)
정답 : 2번
----------------------------------------------------------------------------------------------------
주어진 식을 부분분수 전개하면,
라플라스 변환하면,
t-sint
----------------------------------------------------------------------------------------------------
52. 다음 함수의 Laplace 변환은?
(단, U(t)는 단위계단함수(unit step function)이다.)
①
②
③
④
정답 : 2번
----------------------------------------------------------------------------------------------------
u(t) 를 라플라스변환하면 1/s 이다.
u(t-h) 는 u(t) 가 h만큼 시간지연된 경우이므로, 1/s 에 e^(-hs) 를 곱해준다.
----------------------------------------------------------------------------------------------------
53. Bode 선도를 이용한 안정성 판별법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위상 크로스오버 주파수(Phase crossover frequency)에서 AR 은 1보다 작아야 안정하다.
② 이득여유(Gain Margin)는 위상 크로스오버 주파수에서 AR 의 역수이다.
③ 열린 루프에서 안정한 공정 전달함수에 대해서만 적용 가능하다.
④ 이득 크로스오버 주파수(Gain crossover frequency)에서 위상각은 -180도보다 커야 안정하다.
정답 : 3번
----------------------------------------------------------------------------------------------------
1번 : Bode 안정성 판별법을 얘기하고 있다.
2번 : 이득여유에 대한 옳은 설명이다.
3번 : 잘 모르겠다. 공정 전달함수가 개루프에서 안정할 필요는 없나보다.
4번 : 위상각이 -180도 일 때 주파수가 Phase crossover frequency 라면,
진폭비가 1일 때 주파수가 Gain crossover frequency 이다.
이 값이 -180도보다 커야 안정하다.
이 값과 -180도와의 차이가 위상 여유이다.
----------------------------------------------------------------------------------------------------
54. 증류탑의 응축기와 재비기에 수은기둥 온도계를 설치하고 운전하면서 한 시간마다 온도를 읽어 다음 그림과 같은 데이터를 얻었다. 이 데이터와 수은기둥 온도 값 각각의 성질로 옳은 것은?
① 연속(continuous), 아날로그
② 연속(continuous), 디지털
③ 이산시간(discrete-time), 아날로그
④ 이산시간(discrete-time), 디지털
정답 : 3번
----------------------------------------------------------------------------------------------------
특별히 개념에 대해 알지못하더라도 충분히 유추해서 풀 수있는 문제이다.
연속시간과 이산시간은 반대개념이다.
한 시간 마다 점점점 찍은 데이터는 연속적이지 않다.
그리고 수은 온도계는 아날로그 온도계이지 디지털 온도계는 아니지 않은가?
----------------------------------------------------------------------------------------------------
55. 특성방정식이 인 제어계가 있다. 이 제어계의 안정성은?
① 안정하다.
② 불안정하다.
③ 불충분 조건이 있다.
④ 식의 성립이 불가하다.
정답 : 1번
----------------------------------------------------------------------------------------------------
routh-array 를 써보자.
계산한 값들이 양수이므로 안정하다.
----------------------------------------------------------------------------------------------------
'화공기사 > 2015년 1회 필기 기출 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공기사 2015년 1회 기출 풀이(81번,82번,83번,*84번,85번) (2) | 2019.03.26 |
---|---|
화공기사 2015년 1회 기출 풀이(56번,57번,58번,59번,60번) (5) | 2019.03.26 |
화공기사 2015년 1회 기출 풀이(46번,47번,48번,49번,50번) (1) | 2019.03.26 |
화공기사 2015년 1회 기출 풀이(41번,42번,43번,44번,45번) (0) | 2019.03.26 |
화공기사 2015년 1회 기출 풀이(36번,37번,38번,39번,**40번) (0) | 2019.03.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