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합격을 위해 맞춰야할 문제 : 56번, 57번, 58번, 60번
① PI controller
② PD controller
③ PID controller
④ on - off controller
정답 : 4번
----------------------------------------------------------------------------------------------------
비례폭은 보통 P 제어에 쓰는 용어인데..P제어가 보기에 없다.
비례폭은 gain 에 반비례한다.
즉, gain 이 무한대로 가는 경우를 생각해보면
on-off 는 중간이 없는 오로지 on과 off만 있으니 gain이 무한대라고 할 수 있다.
----------------------------------------------------------------------------------------------------
57. 자동차를 운전하는 것을 제어시스템의 가동으로 간주할 때 도로의 차선을 유지하며 자동차가 주행하는 경우 자동차의 핸들은 제어시스템을 구성하는 요소 중 어디에 해당하는가?
① 감지기
② 조작변수
③ 구동기
④ 피제어변수
정답 : 2번
----------------------------------------------------------------------------------------------------
핸들을 조작해서 자동차의 경로를 제어하니까 조작변수이다.
----------------------------------------------------------------------------------------------------
58. PID 제어기 조율과 관련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Offset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적분동작을 넣어야 한다.
② 빠른 공정일수록 미분동작을 위주로 제어하도록 조율한다.
③ 측정잡음이 큰 공정일수록 미분동작을 위주로 제어하도록 조율한다.
④ 공정의 동특성 빠르기는 조율시 고려사항이 아니다.
정답 : 1번
----------------------------------------------------------------------------------------------------
1번 : 적분제어는 offset을 제거한다.
2번 : 미분동작은 응답을 빠르게 하는데 이미 빠른 동작이므로 옳지 않다.
3번 : 미분동작은 급격하게 조작하는 느낌?인데 측정잡음이 크면 과하게 동작될 느낌이다..
4번 : 고려해야한다.
----------------------------------------------------------------------------------------------------
59. 인 2차계 공정에서 단위계단 입력에 대한 공정응답으로 옳은 것은?
(단, ζ, τ>0 이다.)
① ζ가 1보다 작을수록 overshoot이 작다.
② ζ가 1보다 작을수록 진동주기가 작다.
③ 진동주기는 K 와 τ 에는 무관하다.
④ K 가 클수록 응답이 빨라진다.
정답 : 2번
----------------------------------------------------------------------------------------------------
책에 보면 overshoot, 주기 등이 ζ, τ 등으로 정리된 식이 있다.
외우면 이런 문제는 쉽게 풀 수 있는데 외우기엔 좀 복잡하고,
꼭 식을 외우지 않더라도 ζ의 변화에 따른 그래프 등을 얼추 기억하고 있으면 풀 수 있지 싶다.
1번 : overshoot은 목표치보다 과하게 치고 올라간 형태를 뜻한다.
그 값은 ζ의 함수이며, 1보다 작으면 과소감쇠이고,
감쇠가 과소하므로 과하게 치고 올라간다고 볼 수 있다.(overshoot이 크다)
2번 : 진동주기는 ζ 와 τ 에 비례한다.
3번 : 진동주기는 ζ 와 τ 에 비례한다.
4번 : K와 응답속도와는 관계가 없는듯하다......
----------------------------------------------------------------------------------------------------
60. 다음의 전달함수를 역변환하면 어떻게 되는가?
①
②
③
④
정답 : 3번
----------------------------------------------------------------------------------------------------
----------------------------------------------------------------------------------------------------
'화공기사 > 2017년 2회 필기 기출 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공기사 2017년 2회 기출 풀이(86번,87번,88번,89번,90번) (0) | 2019.02.12 |
---|---|
화공기사 2017년 2회 기출 풀이(*81번,82번,*83번,84번,*85번) (0) | 2019.02.12 |
화공기사 2017년 2회 기출 풀이(51번,52번,53번,*54번,*55번) (6) | 2019.02.12 |
화공기사 2017년 2회 기출 풀이(46번,47번,*48번,49번,*50번) (2) | 2019.02.11 |
화공기사 2017년 2회 기출 풀이(41번,*42번,43번,44번,45번) (6) | 2019.02.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