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합격을 위해 맞춰야할 문제 : 91번, 93번, 94번
① 불균질 반응에서 일반적으로 반응속도식은 화학반응항에 물질 이동항이 포함된다.
② 어떤 단계가 비선형성을 띠면 이를 회피하지 말고 총괄속도식에 적용하여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③ 여러 과정의 속도를 나타내는 단위가 서로 같으면 총괄 속도식을 유도하기 편리하다.
④ 총괄 속도식에는 중간체의 농도항이 제거되어야 한다.
정답 : 2번
----------------------------------------------------------------------------------------------------
반응물의 상이 모두 같으면 homogeneous, 하나라도 다르면 heterogeneous 반응이다.
비슷한 예로 고체 촉매를 비균일계 촉매라고 한다.
뭔가 문제를 설명하기에 지식이 애매하다..
비선형성은 계산이 힘들다. 때문에 선형화하는 것이다.
----------------------------------------------------------------------------------------------------
92. 이상적 반응기 중 완전교반흐름 반응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반응기 입구와 출구의 몰 속도가 같다.
② 정상상태 흐름반응기이다.
③ 축방향의 농도 구배가 없다.
④ 반응기 내의 온도 구배가 없다.
정답 : 1번
----------------------------------------------------------------------------------------------------
08년 4회 115번에 '완전교반흐름 → '플러그 흐름' 이고 나머지는 보기까지 똑같았던 문제가 출제됐었다.
그 때도 답은 1번이었는데
3번 축방향의 농도 구배가 없다 라는 보기가 이상했다.
내가 알기로는 PFR은 축방향 농도구배가 있는데..
16년 2회에는 완전교반흐름 반응기로 출제가 됐다.
그래서 의문은 사라졌다.
사실 1번 보기도 좀 찝찝하긴 하지만
입구와 출구의 몰 속도가 반드시 같을 필요는 없다고 생각하면 그러려니 싶다.
----------------------------------------------------------------------------------------------------
93. 크기가 다른 2개의 혼합흐름반응기를 사용하여 1차반응에 의해서 제품을 생산하려 한다. 다음 중 옳은 설명은?
① 혼합흐름반응기의 순서는 전환율에 아무런 영향도 주지 않는다.
② 혼합속도가 느린 반응기를 먼저 설치해야 전환율이 크다.
③ 작은 혼합흐름반응기를 먼저 설치해야 전환율이 크다.
④ 큰 혼합흐름반응기를 먼저 설치해야 전환율이 크다.
정답 : 1번
----------------------------------------------------------------------------------------------------
1차 반응에서 반응기의 순서는 전환율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
94. 부피가 일정한 회분식반응기에서 반응혼합물 A 기체의 최초 압력을 478mmHg 로 할 경우에 반감기가 80s 이었다고 한다. 만일 이 A 기체의 반응 혼합물에 최초 압력을 315mmHg 로 하였을 때 반감기가 120s 로 되었다면 반응의 차수는 몇 차 반응으로 예상할 수 있는가?
(단, 반응물은 초기 조성이 같고, 비가역 반응이 일어난다.)
① 1차반응
② 2차반응
③ 3차반응
④ 4차반응
정답 : 2번
----------------------------------------------------------------------------------------------------
역시 이 문제도 답이 0, 1, 2차 중에 있다고 생각하고 들어가보자.
그러면 3,4번은 아니다. 벌써 반은 맞았다.
1차 반응의 반감기는 ln2 / k 로 반응물의 농도에 관계없다는 사실을 많이들 알고 있을 것이다.
그런데 문제에서는 반감기가 바뀌었다. 즉 1차가 아니다.
답은 2번이다.
검증해보자.
(여기서는 농도나 압력이나 의미하는 바는 같다.)
첫번째 조건에서 k = 1/(478*80) = 0.000026
두번째 조건에서 k = 1/(315*120) = 0.000026
따라서 2차반응이 맞다.
----------------------------------------------------------------------------------------------------
95. 체적이 일정한 회분식 반응기에서 다음과 같은 기체반응이 일어난다. 초기의 전압과 분압을 각각 , 나중의 전압을 P 라 할 때 분압
을 표시하는 식은?
(단, 초기에 A, B 는 양론비대로 존재하고 R 은 없다.)
aA + bB → rR
①
②
③
④
정답 : 2번
----------------------------------------------------------------------------------------------------
----------------------------------------------------------------------------------------------------
'화공기사 > 2016년 2회 필기 기출 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공기사 2016년 2회 기출 풀이(96번,*97번,98번,99번,100번) (2) | 2019.03.14 |
---|---|
화공기사 2016년 2회 기출 풀이(86번,87번,88번,89번,90번) (7) | 2019.03.13 |
화공기사 2016년 2회 기출 풀이(81번,82번,83번,84번,85번) (0) | 2019.03.13 |
화공기사 2016년 2회 기출 풀이(56번,57번,58번,59번,60번) (3) | 2019.03.13 |
화공기사 2016년 2회 기출 풀이(51번,52번,53번,54번,55번) (0) | 2019.03.13 |
댓글